2. ESP32 보드 준비, 저는 알리에서 구매한 ESP32-c3를 USB 에 연결했습니다.
3.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Options -> list All devices 를 선택합니다.
4. 화살표를 아래로 클릭하면 여러 디바이스가 나오는데요, ESP32용 USB는 두가지입니다.
USB JTAG/serial debug unit (interface 0 / interface 2 ) 이 두개가 ESP32 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입니다.
1) Interface 0 확인 사항.
Interface 0 는 일반 USBuser로 잡혀 있어야 합니다. 아마도 초기값이 이거 일듯합니다.
포트에 COM10으로 잡혀있네요. PC마다 다르지만 어찌되었뜬 COMx 에 잡혀있으면 일단 OK
2) Interface 2 확인사항
위에 처럼 안되어 있으면 우측에서 골라 드라이버를 설치 또는 교체해서 드라이버를 변경해줍니다.
범용 직렬 버스 장치로 잡혀있네요.
그럼 준비 완료!!!!
준비는 끝났으니 실전으로 해봐야죠.
- VScode 프로젝트를 실행.
아래 메뉴에 보면 UART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클릭해서 JTAG로 변경해줍니다. 클릭하면 윗부분에서 고르는 리스트가 나옵니다. " JTAG " 선택
그리고 COM10 부분은 자신의 보드에 연결된 COM으로 변경해주시면됩니다.
2.컴파일을 끝내고 "Flash Device"를 클릭
3. OpenOCD Server 를 실행하겠냐는 물음이 나오면 당연히 "네" 하시면 됩니다.
4. 디버그 구성은 "Eclipse CDT GDB Adapter" 를 선택해 주세요.
5. 디버깅이 시작되면 아래와 같은 상태가 되어 있을겁니다.
그리고 메인 화면은 아래 처럼 바뀌게 됩니다.
참 쉽죠?
ESP32는 데이터 시트를 보면 내부에 JTAG이 USB로 연결이 되어 있어서 가능한 겁니다.
-끝-
어!!! 왜 난 디버깅이 실행이 안되지...... 뭐야... 안되잖아 하시는 분들은
보드의 "RST" 리셋 버튼이 있으면 리셋을 해주세요.
디버깅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으로 리셋을 걸어줘야 하는데, USB로 연결이 되어 있으니 하드웨어 리셋이 안걸립니다. (당연하겠죠)
따라서, 물리적으로 하드웨어 리셋을 걸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시한번 디버깅을 시작해 보세요.
'개발 > 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P32 While 문에서 리셋 걸리는 현상 해결 (Task watchdog got triggered. ) (0) | 2025.02.06 |
---|---|
ESP32 Monitor Device 사용하기 (0) | 2025.02.06 |
ESP32 컴파일러 설치 (VScode) (0) | 2025.02.06 |
Measuring Bluetooth® Low Energy Power Consumption (0) | 2016.07.11 |
Reprogramming the CC2540 USB Dongle in the CC2540DK (0) | 2016.07.11 |
BLE 란? (0) | 2016.07.07 |
약어정리 - octets (0) | 2016.07.07 |
약어 정리 - MTU (0) | 2016.07.07 |